본문 바로가기

일상

한국인이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것보다 유리한 점이 있다면?

반응형

한국인이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것보다 유리한 점

1. 포트폴리오 다변성

: 해외 주식은 국내 주식과 다른 자산군이며, 포트폴리오 다변성을 증가시킵니다. 이를 통해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.

2. 다양한 시장 및 기업에 노출

: 해외 주식 투자를 통해 국내 시장의 제한된 범위를 벗어나 다양한 글로벌 시장과 기업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.

3. 글로벌 경기 변동에 대한 대비

: 국내 주식 시장과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, 국내 경기 침체 시에도 해외 시장의 성과가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4. 환율 리스크 다각화

: 해외 투자를 통해 원화 외의 통화로 자산을 보유하므로, 환율 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다각화할 수 있습니다.

5. 새로운 성장 기회

: 글로벌 시장에서는 새로운 산업과 기술 분야에서 성장하는 기업을 발견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미래 성장에 대한 기회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.

6. 글로벌 경제 이벤트 영향 완화

: 국내 경제 이벤트에 영향을 받지 않는 글로벌 경제의 흐름을 이해하고, 이에 따른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.

7. 국제적인 경험과 지식 획득

: 글로벌 시장에서의 투자 경험은 투자자의 지식과 시야를 확장시키며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.

8. 세무 혜택

: 일부 국가에서는 해외 투자에 대한 세무 혜택이 제공될 수 있으며, 세금을 절감하는 기회가 있습니다.

9. 금리와 인플레이션 다각화

: 다양한 국가의 금리와 인플레이션 수준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면 금융 목표를 달성하기 더 쉬울 수 있습니다.


위에서 언급한 것 중 가장 중요한 한 가지를 요약해서 생각해 보자면, 포트폴리오 다변성입니다.

해외 주식 투자에서 포트폴리오 다변성을 확보하는 것은 투자 위험을 분산시키고 안정성을 높이는 데 도움이 됩니다. 다음은 포트폴리오 다변성을 구축하는 구체적인 예입니다.

1. 국가 및 지역 다변성:
   - 미국 주식: Apple, Microsoft, Amazon 등
   - 유럽 주식: Nestle, Volkswagen, Unilever 등
   - 아시아 주식: Samsung Electronics, Alibaba, Toyota 등
   - 신흥 시장 주식: Tencent, MercadoLibre, HDFC Bank 등

2. 산업 다변성:
   - 기술 부문: 기술 기업 (예: Apple, Microsoft)
   - 소비재 부문: 소비재 기업 (예: Procter & Gamble, Coca-Cola)
   - 자동차 부문: 자동차 제조업체 (예: Tesla, Toyota)
   - 금융 부문: 금융 기관 (예: JP Morgan Chase, Visa)

3. 자산 다변성:
   - 주식: 다양한 업종 및 지역의 주식 투자
   - 채권: 정부, 회사, 민간 등 다양한 종류의 채권 투자
   - 부동산: 부동산 투자 신뢰(REITs) 또는 부동산 개발 프로젝트 투자
   - 현금 및 현금 유동성: 현금, 예금증서, 단기 채권 등 안전 자산

4. 크기 다변성:
   - 대형기업: 대형 기업 주식 (예: Apple, Microsoft)
   - 중소기업: 중소기업 주식 (예: Etsy, Zoom Video)
   - 성장주 및 가치주: 성장주 (예: Amazon, Netflix)와 가치주 (예: General Electric, IBM) 포함

5. 성과 다변성:
   - 주식, 채권, 현금 등 다양한 자산 유형의 투자
   - 저위험/안정적인 자산과 고위험/수익성이 높은 자산의 균형 조절

포트폴리오 다변성은 투자 위험을 분산시키고, 어떤 자산 클래스나 지역의 부진에도 강건하게 대응할 수 있도록 도와줍니다. 포트폴리오 구성 시 투자 목표, 투자 기간, 위험 허용 범위 등을 고려하여 다변성을 조절해야 합니다. 또한 금융 전문가와 상담을 받는 것이 중요하며, 투자 전략을 수립할 때 개인적인 상황과 목표를 고려해야 합니다.


조금 더 현실적인 미시적 관점에서 팁 하나를 드리면서 마무리하겠습니다. 이미 해외 주식을 하고 계신 분이라면 자연스럽게 알고 계신 내용이겠지만, 오늘 처음 해외 주식을 시작하신 분이라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

해외 주식 분석

위 이미지를 보면 투자 원금은 233,852원이고, 현재 주식의 가격은 234,160원입니다. 누가 봐도 이익입니다. 그런데 이 주식을 판매하면 159원의 손해를 보게 됩니다. 왜 이런 현상이 생긴 것일까요? 물론 수수료와 세금도 있기 때문에 그럴 수 있습니다. 숫자의 세부 내용만 보지 마시고 해외 주식이라는 관점에서 한 번 생각해 보세요.

그렇습니다. 환율의 변화입니다. 가령 내가 구매할 때 환율이 1달러에 1,200원이었는데, 지금의 환율이 1달러에 1,300원이라면 주식의 가치가 변함이 없더라도 나는 100원의 이익이 발생한 것입니다. 이런 관점에서 해외 주식을 투자하게 된다면 환율 원화에 유리할 때 해외 주식을 구매하는 것은 또 하나의 투자 방법이 되겠습니다. 

끝으로 주식투자 뿐만 아니라 모든 투자는 항상 리스크가 따르므로 신중한 연구와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씀으로 끝을 맺습니다.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. 날마다 메리 크리스마스 ~